“DPG통합플랫폼(DPG허브)” 구축으로 디지털플랫폼정부를 견인하다
: '25년 상반기 서비스 개시 목표로 1단계 DPG 허브 구축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위원장 김창경, 이하 ‘디플정위’)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디지털플랫폼정부(Digital Platform Government, DPG) 실현을 위한 핵심 인프라인 ‘디지털플랫폼정부 통합플랫폼(이하 DPG허브)’의 1단계 구축을 '25년 상반기까지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DPG허브는 정부 내 주요 플랫폼(통합데이터지도, 공공데이터포털, AI허브 등)을 연결하는 중심축으로, 누구나 쉽게 여러 기관에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연계·통합·분석하고 초거대 AI 등 민간의 첨단기술을 바탕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DPG허브의 핵심 기능은 디지털자원등록저장소, 디지털파이프라인, 페르소나 챗봇, 디지털자원이용간편인증 등으로, 이번에 DPG허브 1단계 구축이 완료되면 정부는 '25년 상반기에 국민·공공기관·기업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개시하고 ’26년까지 단계적으로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 (1단계) DPG허브 인프라(인터넷망) 구축 → (2단계) DPG허브 인프라(업무망) 구축 → (3단계) 기능고도화 및 서비스 확대
< DPG허브 주요 핵심 기능 >
◇ (디지털자원등록저장소) 민간·공공의 디지털자원(API·데이터 등) 등록·검색 기능 제공
◇ (디지털파이프라인) 다양한 기관의 데이터를 융합 활용하기 위한 표준화·연계 기능 제공
◇ (페르소나 챗봇) 초거대AI를 기반으로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API·데이터 추천, 개발가이드 및 코드샘플 제공 등 DPG허브 활용 지원
◇ (디지털자원이용 간편인증) 정부가 제공하는 디지털자원(API, 데이터 등) 관련 시스템별 복잡한 인증절차를 간소화하여 하나의 계정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DPG허브가 구축되면 국민은 필요한 서비스와 데이터를 한 곳에서 쉽고 빠르게 찾아 이용할 수 있게 되고, 기업들은 DPG허브의 데이터와 기술을 활용, 새로운 혁신서비스를 개발하여 기업 가치와 국민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다.
또한 정부도 DPG허브를 통해 민간의 혁신서비스와 AI 등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국민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서보람 추진단장은 “DPG허브는 국민 누구나 디지털플랫폼정부를 쉽게 체감할 수 있는 핵심 기반으로서 디플정위는 관계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DPG허브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고 민관협력을 바탕으로 국민이 편리한 혁신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창출해 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송상훈 정보통신정책실장은 “DPG허브가 구축되면 민간과 공공의 디지털자원을 활용하여 민간 주도로 혁신서비스가 지속적으로 개발되는 새로운 산업 생태계가 형성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디플정위를 비롯한 관계부처와 긴밀하게 협의하여 혁신서비스가 순조롭게 개발되고, 국민이 디지털플랫폼정부의 성과를 체감하실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