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플정위‧과기정통부, 대전시 교통약자 이동서비스 지원(2025.05.26)
조회수 : 226 2025.05.26

디플정위‧과기정통부, 대전시 교통약자 이동지원 서비스 '사랑나눔콜' 카카오 T 앱 연동으로 이용 편의 증진

- 인지도 높은 민간 플랫폼과의 연계로 교통약자 및 보호자의 접근성편의성 제고

- 대전시 교통약자 대상 시범 서비스 운영‧안정화를 거쳐 정식 서비스 개시(5.26)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위원장 김창경)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국민체감형 민간혁신 프로젝트 사업(전담기: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일환으로 민간 모빌리티 플랫폼을 이용한 대전광역시 교통약자 이동지원 서비스526() 개시한다고 밝혔다.


본 사업의 목적은 교통약자들이 익숙한 민간 앱을 통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이동지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대전광역시가 대전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 코나투스, 카카오모빌리티 등과 협력하여 기존 대전광역시의 교통약자 이동지원 서비스인 사랑나눔콜을 민간 플랫폼인 카카오 T 앱에서도 호출할 수 있도록 연계하는 사업이다. 교통약자 이동지원 플랫폼 구축연계 후 지난 20253월부터 시범 서비스를 운영해 왔으며, 이용자 의견을 반영해 일부 기능을 보완하는 등 서비스 안정화를 추진하였다.


본 사업에서 대전광역시는 서비스 운영과 정책 지원을,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 T 앱을 통한 사용자 환경 제공을, 모빌리티솔루션 전문기업인 코나투스는 교통약자 이동지원 플랫폼 구축 및 지자체 시스템과의 연계를 포함한 기술 통합을 담당하였다. 이번 사업으로, 대전광역시 교통약자 이동지원 서비스 이용자들은 익숙한 민간 앱을 통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번에 구축된 시스템은 지자체가 서비스 도입 시 빠르고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구조(SaaS*)로 설계되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기능 추가 시 기존 시스템의 변경을 최소화하고 빠르게 개선할 수 있어, 다른 지자체로의 확산도 용이할 것으로 기대된다.

* SaaS(Software as a Service,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인터넷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설치하지 않고 필요한 기능을 즉시 이용


대전광역시는 이번 서비스 외에도 교통약자의 실질적 이동권 보장을 위한 정책 기반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차량·차고지 확충 등 인프라 개선을 지속 추진 중이다.

(교통약자 이동 특별교통수단 확대) (`24.12월)111→ (`25.5월)116→ (`26, 예정)131
(배차 대기시간 감소를 위해 차량 차고지 증설) (`24)10개소 → (`25)12개소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이승현 인공지능·플랫폼혁신국장해당 서비스는 공공부문의 교통약자 이동지원 시스템과 민간 모빌리티 플랫폼을 연계한 첫 번째 사례라고 평가하며,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에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민간 혁신 프로젝트를 지원하겠다 밝혔다.


과기정통부 김경만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이번 서비스는 중앙정부, 지자체, 기업 등 민관이 함께 협력하여 디지털 공공 혁신을 추진하였다는데 더욱 의미가 크다면서,“대전광역시에서도 본 서비스가 현장에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서비스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운영해주시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대전광역시 이장우 시장은 앞으로도 교통약자 이동 편의 증진을 위해 지속적으로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